<금융정보> 비과세저축 금년내에 가입해야 한다.
<금융정보> 비과세저축 금년내에 가입해야 한다.
  • 이홍규
  • 승인 2002.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도 부터는 비과세 저축이 없어진다.
내년도 부터는 비과세저축이 없어진다고 한다. 저금리 시대에
서민들의 재산형성에 한몫을 담당했던 비과세저축이 없어짐에 따라 지금 서둘러 비과세저축을 가입해야 하므로 비과세저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금융 상품을 이용한 재테크 전략에서 주목해야 할 세가지 포인트는 금리인상 가능성, 올해말로 폐지되는 비과세 상품, 연말 정산 등이다.

일단 올해말로 폐지되는 비과세 상품과 세금우대 상품에 가입해놓고 나머지 여유자금이 있다면 금리상승에 대비해 단기특정금전신탁 등을 활용 한다.


◇금리인상되도 1년 이상 장기상품 유리

추석 이후 재테크 전략의 관건은 금리인상이다.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이 다소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다음달 중 한은이 콜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콜금리가 인상되면 은행 예금이나 대출금리도 그 영향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금리상승에 포커스를 맞추고 이에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회전식 예금으로 불리는 ‘변동금리형 정기예금’과 ‘단기 특정금전신탁’ 상품이 있다. 변동금리형 정기예금은 1, 3, 6개월 단위로 예금금리가 시장금리에 맞춰 조정되는 상품이다. 단기 특정금전신탁은 만기가 대부분 3개월로 짧은 데다 정기예금 금리보다 0.2~1%포인트 정도 높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자금을 운영하고자 한다면 3개월짜리 정기예금보다 단기 특정금전신탁을 이용하는 게 유리하다. 그렇다고 단기상품 위주의 투자만이 능사가 아니다.

금리상승폭이 미미할 경우 짧게 돌리는 게(단기투자가) 반드시 유리한 것은 아며 단기상품으로 이익을 보려면 금리가 3개월마다 0.4%포인트, 연간 1.6% 이상 올라야 하는데 현 상황으로서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향후 1년 이내 1.6%포인트나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에 1년 이상 장기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면에서 훨씬 낫다는 것이다.

더구나 1년 이상 예치할 경우 세금우대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변동금리형 상품에 가입하더라도 1년 만기로 가입하는 게 유리하다. 변동된 금리를 적용받으면서 세금혜택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출을 받은 고객도 무조건 확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변동금리 대출과 확정금리 대출의 금리차이를 꼼꼼히 살펴본 뒤 대출사용기간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비과세 상품과 절세 상품 활용하라

또 하나의 변수는 서민들의 목돈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던 비과세 저축이 내년부터 사라진다는 점이다. ‘근로자우대저축’과 ‘고수익고위험 신탁저축’이 그것이다. 통상 일반 금융상품은 이자소득에 대해 16.5%의 세금을 물리지만 비과세 상품은 세금을 내지 않는다.

따라서 같은 이율이라도 실제로 1~2%포인트 높은 금리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연간 총 급여액이 3천만원 이하인 근로자만 가입할 수 있는 근로자 우대저축은 반드시 가입 해야한다.


근로자 우대저축에 가입할 수 있는 조건에 있는 사람은 가능하면 무조건 가입하는 것이 좋고 이미 가입한 사람이라도 연말 전에 1만원이라도 넣어서 추가로 가입하면 최장 5년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가입기간은 3년 이상 5년까지이며 분기당 최고 1백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연말을 앞두고 있는 만큼 장기주택마련 저축과 연금저축 등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 가입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내년 말까지만 가입가능한 장기주택마련저축은 분기당 3백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불입할 수 있다.

만 18세 이상 무주택자나 전용면적 25.7평 이하 1주택 소유자인 가구자가 가입할 경우 연간 불입액의 40%범위 내에서 최고 3백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간 7백50만원을 불입하면 3백만원을 공제받을 수 있는 만큼 이왕이면 이를 채우는 게 낫다.


연금저축은 분기당 3백만원 한도 내에서 불입이 가능하며 연간 2백40만원까지 소득공제가 된다.


(각 상품별 세부정보는 농협 등 금융기관에 문의하면 자세한 정보
를 얻을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