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취색의 향연, 그 매력을 파헤치다
비취색의 향연, 그 매력을 파헤치다
  • 김응곤 기자
  • 승인 2016.08.15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자의 종류]

청자는 도자기의 재료와 기법, 표면에 문양을 넣는 방법에 따라 종류나 이름이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순청자와 상감청자, 철화청자, 진사청자 5가지로 분류된다. 물론 세부적으로는 그 종류가 더 많기도 하지만 청자의 특징이나 기법 등을 봤을 때 5가지 형태만으로도 종류를 구분하거나 파악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순수함의 아름다움'... 순청자
순청자는 상감이나 다른 물질에 의한 장식무늬가 들어가지 않은 청자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은은한 비취색과 문양, 형태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이 그 멋이라 할 수 있다. 상감청자가 문양의 독특함을 중요시하였다면 순청자는 색을 생명력으로 삼은 청자로 비교할 수 있다.
 
순청자는 고려시대 초기부터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12세기 초에는 그 정점에 이르게 되며 상감청자가 만들어지던 때인 중엽이후 까지도 꾸준히 제작됐다. 특히 표면의 장식무늬 또는 그릇의 형태에 따라 다시 소문청자, 양각청자, 음각청자로 나뉜다. 소문청자는 어떠한 장식도 하지 않은 순수청자로 순청자 본래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양각청자와 음각청자는 순청자를 더 아름답게 장식하게 위하여 양각과 음각의 기법을 사용해 문양을 표현한 것으로 10세기 후반부터 차츰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양각청자는 연화, 모란, 용, 운학 등 여러 가지 문양을 도도록하게 부각한 반면 음각순청자는 극히 가는 선을 파내 그려 넣은 것이 특징이다.

'정교한 기법과 짜임새...' 상감청자
일반인들이 청자로 가장 많이 떠올리는 청자의 대표적이다.
 
상감청자란 청자에 상감기법으로 문양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바탕흙으로 그릇모양을 만들고 그 표면에 나타내고자 하는 문양이나 글자 등을 파낸 뒤 그 패인 홈을 회색의 청자 바탕흙 또는 백토(白土)나 자토(紫土)로 메우고 표면을 고른 후 청자유약을 입혀 구운 방식이다.
 
도자기에 상감한 것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처음 나타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청자에 상감으로 문양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대략 12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며 가장 세련미를 보인 시기는 12세기 중엽 무렵부터다. 특히 1159년 당시 문공유의 무덤에서 출토된 상감청자는 정교한 기법과 짜임새 있는 문양의 구도, 맑고 투명한 유약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절정기 상감청자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청자의 또 다른 변신... 철화청자
철화청자는 회청색 태도로 틀을 만든 뒤 문양을 그리고 청자유를 발라 구워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옛 문헌에 석간주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회고려(繪高麗), 화청자(畵靑磁), 철회(鐵繪)청자로 불리기도 한다.
 
그릇모양은 매병과 광구장경병 주전자, 기름병 등이 많으며 발색이나 문양 등에도 전형적인 고려청자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환원염 번조의 고려청자와는 달리 대개 산화염 번조였기 때문에 일부의 예를 제외하고는 황갈색인 경우가 많다. 또 대개의 경우 유약이 얇고 바탕 흙 속에 모래 등의 불순물이 섞인 것이 많아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 철화청자는 중국 송, 원나라의 자주요 계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11세기 초에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번조수법이나 기형문양에서 그 영향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고려 말까지 계속된다.
 
점과 선으로 예술을 놓다... 퇴화청자
퇴화청자는 백토 또는 자토로 그릇표면에 점을 찍거나 선을 그어 문양을 나타낸 것으로 문장부분이 약간 도드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붓을 이용해 백토나 자토로 그림을 그리는 점에서는 철화청자와 그 기법이 같지만 안료가 그릇표면에 두껍게 발라져 무늬 부분이 도드라진다는 점에서는 철화와 크게 다르다. 즉, 철화가 수채화라고 한다면 퇴화는 유채화로 비교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 기법으로 그린 문양의 자토와 백토 부분이 조금씩 도드라져 있기 때문에 단순한 선은 퇴선문, 점은 퇴점문, 구체적 형태의 문양을 그린 것은 퇴화문으로 부르고 있다.
 
대표작품으로 청자양각퇴화 여의두 연꽃무늬 병, 청자상감퇴화풀꽃무늬 주자와 받침 등이 있다.
 
'붉은빛'의 멋스러움, 진사청자
진사청자는 산화동으로 문양 또는 문자를 넣고 그 위에 청자잿물을 발라 소성한 청자로 일반적으로 붉은색을 띠고 있다. 진사란 동염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띄는 것을 말한다.

안료의 명칭에 따라 동채, 동화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산화동은 적색으로 산화염에는 녹색으로 발색하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붉은 색을 의미하는 진사로 부르는 편이 좋겠다.
 
진사청자를 생산하기 시작한 연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12세기 중반~13세기 초반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러한 학설은 대구면 사당리 가마터에서 진사가 들어간 청자상감의 도편이 청자의 최성기 것으로 추정되는 것들과 함께 출토된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진사청자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그 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매우 희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